인터넷으로 얼마나 썼는지 한전 전기요금 조회

 전기 요금 폭탄의 계절 여름이 오고 있습니다. 올해 여름은 얼마나 더울지 상상이 안가는데요 작년에 기록적인 폭염에 가뭄에 비도 안오고 덥기도 엄청 더워서 계속해서 에어컨을 켜놔야만 했었습니다. 그래서 그만큼 전기 요금도 많이 나왓었는데 가장 더웠던 8월달 전기요금이 무려 20만원 정도 나왔었습니다. 물론 에어컨만 많이 켜서 그런건 아니고 요즘 가정에서 가스렌지도 인덕션으로 바뀌고 냉장고의 사이즈도 커지고 가전제품이 엄청 많아져서 그게 복합적으로 누진세가 붙어서 많이 나온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올해는 누진세율이 더 올라서 어떻게 전기를 사용해야할지 에어컨을 어떤식으로 틀어야할지 고민이 깊어집니다. 그래서 찾아보게 된것이 지금 전기요금의 단가는 얼마인가 조회를 해서 계산을 해보는 것인데요 오늘은 한전 전기요금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전에서 전기요금 조회하기



 네이버 검색창에 한국전력공사를 입력하고 찾기를 눌러서 찾아줍니다. 그럼 아래 한국전력공사 사이트가 나오는데 그 아래 사이버 지점을 클릭해서 들어가줍니다.


전기요금을 조회하기 전에 회원가입을 해야하는데 개인정보 보호법에 의거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본인의 명의 최초 1회 사전에 전기요금 조회 가구를 신청해야만 조회가 가능해지니 회원가입을 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사이버지점에 들어왔으면 왼쪽 중앙쪽을 보면 간편조회가 있는데 이것을 클릭해서 들어가줍니다. 



 간편조회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나올 것입니다ㅣ 여기에 검색조건 선택하고 청구년월을 선택해서 조회버튼을 눌러줍니다.



주택용 이사요금이나 아파트 오피스텔등 여러가지를 검색이 가능합니다.



 2016년 12월에 전기요즘이 개정되었기 때문에 개정 후의 전기요금으로 계산을 해야합니다. 한달에 400kw 정도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때 월 전기요금이 3만 6천원 정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에는 한전 요금의 단가표인데 딱 제가 사용했던 400kw 까지만 저렴하고 그이상되면 주택용 저압 전력을 기준으로 1,600원에서 7,300원까지 전기요금이 4배 이상 뜨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고압전력도 마찬가지로 4배 이상 올라가서 호당 6060원을 납부해야합니다. 요즘에는 통신사 서비스에 보면 세대내에 IOT를 접목시켜서 전기 사용량이 얼마인지 누적은 얼마인지를 스스로 계산해주는 것이 있으니 이런 서비스를 활용해서 사용하시는 것도 전기 요금 폭탄을 예방할 수 있는 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